![](https://cdn.imweb.me/upload/S20201019793a46ced0fc9/1d75fb41849a0.png)
안녕하세요 휴스피치입니다!
박민영 원장님께서 2023년에 이어
2024년 올해도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발표 스킬 강의를
맡게 되셨어요.
박민영 원장님의 강의력 때문인지
한번 인연을 맺은 곳은 꾸준히 출강 의뢰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그럼 올해의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 발표 스킬 강의 현장은
어땠는지 함께 만나러 가볼까요?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란?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란: 산업통상자원부와 산하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에서 주관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는 석·박사 과정 대학원생과 기업 연구원이 팀을 이뤄 앞선 연구 성과를 겨루는 자리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 취지: 산업부는 기업의 신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석·박사 과정 학생에게 현장 경험을 제공하고자 매년 1428억원(2024년 기준) 예산을 들여 산업혁신인재성장 지원사업을 추진해오고 있음
참가 방식: 기업·대학 연구자가 팀을 꾸려 프로젝트를 제시하면, 정부가 그 수행 비용과 학생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식
2024년 참가 팀 : 올해도 1070명의 학생이 기업 연구자와 435개 팀을 이뤄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93건의 특허와 210건의 논문, 18건의 기술이전 성과가 뒤따랐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01019793a46ced0fc9/309ff010e24b2.png)
![](https://cdn.imweb.me/upload/S20201019793a46ced0fc9/0963bfc67a89f.png)
2024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의 심사 기준 : 계획, 시행, 성과, 사례 항목으로 평가합니다.
훌륭한 프로젝트를 개발했다고 해도 프로젝트의 필요성과 성과를 명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면 너무 아쉽겠죠? 그래서 훌륭한 프로젝트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강의하기 위해 휴스피치 박민영 원장님이 다녀오셨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01019793a46ced0fc9/6db34ddb7513b.png)
먼저 IR피칭에 앞서 피칭의 기본인 행동적 측면에 대해 강의했는데요.
발표시 자세가 바르지 않다면 자신감이 저하되어 보일 수 있고 진지하게 임하고 있지 않다는
인상을 줄 수 있어요. 바른 자세는 발표의 기본 중 기본입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01019793a46ced0fc9/5266e3bfdc648.png)
다음으로는 발표시 긴장을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 강의했는데요.
위 8가지를 꼭 기억하고 연습하면 효과적인 발표에 큰 도움이 된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01019793a46ced0fc9/774f37cf683e8.png)
발표의 기본인 자세와 호흡, 긴장 완화법을 배운 후 본격적으로 IR피칭 스킬을
강의하였는데요. 청중인 심사위원의 귀에 발표 내용이 잘 들어오게 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너무 꾸며 뭐가 헤드라인인지 모르는 발표는 전달력이 부족하죠. 본문을 다 읽는 것도 듣는 입장에서
중요한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힘듭니다. 2024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의 핵심을 심사위원의 채점 기준에 맞춰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01019793a46ced0fc9/88938ebe7d862.png)
품질, 가격, 시간 등 듣는이가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며 프로젝트 발표물이 어떤 개발 성과와 지속가능성, 추후 개발 필요성이 있는지 강의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01019793a46ced0fc9/b8ee31a86c60e.png)
그리고 발표의 마무리인 질의응답 시간을 대비한 강의가 이어졌는데요.
질의응답 시간에 날카로운 심사위원의 지적을 공격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인정할 부분은 인정하는 것이
좋아요. 심사위원을 무조건 이기려고 하고 자신의 주장만을 강하게 발언하는 것 보다 차분하게 말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외에도 강의에서 많은 발표 스킬을 알려드리고 왔습니다.
그리고 참가자 분들의 1:1 발표 코칭도 진행하였는데요. 이 내용은 다음시간에 가져오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작년에 이어 올해도 휴스피치 박민영 원장님을 찾아주신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감사합니다^^
기관교육, 기업교육, 출강교육은
휴스피치!
문의) 02 - 552 - 3041
안녕하세요 휴스피치입니다!
박민영 원장님께서 2023년에 이어
2024년 올해도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발표 스킬 강의를
맡게 되셨어요.
박민영 원장님의 강의력 때문인지
한번 인연을 맺은 곳은 꾸준히 출강 의뢰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그럼 올해의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 발표 스킬 강의 현장은
어땠는지 함께 만나러 가볼까요?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란?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란: 산업통상자원부와 산하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에서 주관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는 석·박사 과정 대학원생과 기업 연구원이 팀을 이뤄 앞선 연구 성과를 겨루는 자리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 취지: 산업부는 기업의 신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석·박사 과정 학생에게 현장 경험을 제공하고자 매년 1428억원(2024년 기준) 예산을 들여 산업혁신인재성장 지원사업을 추진해오고 있음
참가 방식: 기업·대학 연구자가 팀을 꾸려 프로젝트를 제시하면, 정부가 그 수행 비용과 학생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식
2024년 참가 팀 : 올해도 1070명의 학생이 기업 연구자와 435개 팀을 이뤄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93건의 특허와 210건의 논문, 18건의 기술이전 성과가 뒤따랐습니다.
2024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의 심사 기준 : 계획, 시행, 성과, 사례 항목으로 평가합니다.
훌륭한 프로젝트를 개발했다고 해도 프로젝트의 필요성과 성과를 명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면 너무 아쉽겠죠? 그래서 훌륭한 프로젝트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강의하기 위해 휴스피치 박민영 원장님이 다녀오셨습니다!
먼저 IR피칭에 앞서 피칭의 기본인 행동적 측면에 대해 강의했는데요.
발표시 자세가 바르지 않다면 자신감이 저하되어 보일 수 있고 진지하게 임하고 있지 않다는
인상을 줄 수 있어요. 바른 자세는 발표의 기본 중 기본입니다!
다음으로는 발표시 긴장을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 강의했는데요.
위 8가지를 꼭 기억하고 연습하면 효과적인 발표에 큰 도움이 된답니다.
발표의 기본인 자세와 호흡, 긴장 완화법을 배운 후 본격적으로 IR피칭 스킬을
강의하였는데요. 청중인 심사위원의 귀에 발표 내용이 잘 들어오게 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너무 꾸며 뭐가 헤드라인인지 모르는 발표는 전달력이 부족하죠. 본문을 다 읽는 것도 듣는 입장에서
중요한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힘듭니다. 2024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의 핵심을 심사위원의 채점 기준에 맞춰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품질, 가격, 시간 등 듣는이가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며 프로젝트 발표물이 어떤 개발 성과와 지속가능성, 추후 개발 필요성이 있는지 강의했습니다.
그리고 발표의 마무리인 질의응답 시간을 대비한 강의가 이어졌는데요.
질의응답 시간에 날카로운 심사위원의 지적을 공격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인정할 부분은 인정하는 것이
좋아요. 심사위원을 무조건 이기려고 하고 자신의 주장만을 강하게 발언하는 것 보다 차분하게 말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외에도 강의에서 많은 발표 스킬을 알려드리고 왔습니다.
그리고 참가자 분들의 1:1 발표 코칭도 진행하였는데요. 이 내용은 다음시간에 가져오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작년에 이어 올해도 휴스피치 박민영 원장님을 찾아주신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감사합니다^^
기관교육, 기업교육, 출강교육은
휴스피치!
문의) 02 - 552 - 3041